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주휴수당 산정 시 평균 임금 계산 예시
어떤 아르바이트생 A씨가 한 달 동안 일했다고 가정해 봅시다. A씨는 기본 시급 외에 추가적인 수당을 받았어요.
가정 상황:
- 기본 시급: 10,000원
 - 월 소정근로시간: 120시간 (주 30시간 기준)
 - 추가 수당 (지난 3개월간 받은 금액):
- 직책 수당: 매월 50,000원 (총 3개월 = 150,000원)
 - 연장근로 수당: 지난 3개월 동안 총 30,000원 지급됨.
 
 
계산 단계:
1단계: 지난 3개월간의 총 임금 합산
주휴수당 산정의 기준이 되는 '평균 임금'을 계산하려면, 주휴수당을 계산하려는 시점 이전 3개월 동안 지급받은 모든 임금(기본급, 수당 등)을 합산해야 해요.
- 기본급 총액: 10,000원 (시급) $\times$ 120시간 (월 소정근로시간) $\times$ 3개월 = 3,600,000원
 - 추가 수당 총액: 직책 수당 150,000원 + 연장근로 수당 30,000원 = 180,000원
 - 3개월간 총 지급 임금: 3,600,000원 + 180,000원 = 3,780,000원
 
2단계: 3개월간의 총 근로시간 합산
- 3개월간 총 근로시간: 120시간 (월) $\times$ 3개월 = 360시간
 
3단계: 평균 임금 (시간당 금액) 계산
평균 임금은 (총 지급 임금) $\div$ (총 근로시간)으로 계산해요.
- 평균 시급: 3,780,000원 $\div$ 360시간 = 10,500원
 
결론:
이 경우, A씨의 주휴수당을 계산할 때 적용되는 시급은 단순 계약 시급인 10,000원이 아니라, 평균 임금인 10,500원이 된답니다.
따라서 A씨가 받아야 할 주휴수당은 (10,500원 $\times$ 1일 소정근로시간)이 되는 것이죠.
이처럼 기본 시급 외에 정기적으로 지급된 수당이 있다면 평균 임금을 계산해야 해서 복잡해지는데, 이 부분이 사장님들이 가장 많이 실수하는 지점 중 하나랍니다. 이해가 잘 되셨을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