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긴급복지 생계지원금

반응형

 

2025년 긴급복지 생계지원금 인상 안내

긴급복지 생계지원금은 실직, 질병, 사망 등 갑작스러운 위기로 생계가 어려워진 저소득 가구를 대상으로 일시적 지원을 제공하는 정부 제도입니다. 2025년 기준중위소득 6.42% 인상으로 지원 대상과 금액이 확대되었습니다. 4인 가구 기준 월 195만 원으로 인상되었으며, 아래에서 최신 정보를 자세히 안내합니다.

1. 2025년 인상 주요 내용

  • 인상률: 기준중위소득 6.42% 인상 (역대 최대).
  • 주요 변화:
    • 지원 대상 확대: 소득 기준(중위소득 75% 이하) 완화.
    • 지원금 인상: 4인 가구 기준 183만 원 → 195만 원.
    • 지역별 추가: 서울형 긴급복지 소득 기준 7.3% 완화 (1인 가구 기준).
  • 적용 시기: 2025년 1월 1일부터.

2. 지원 대상 및 자격 조건

(1) 위기 상황

  • 주소득자의 사망, 실직, 중한 질병·부상, 가출·행방불명, 가정폭력·학대, 화재·자연재해 등.
  • 사업 실패, 휴·폐업, 감염병 후유증 등 소득 급감 사유 포함.

(2) 경제적 기준

  • 소득 기준 (중위소득 75% 이하):
    • 1인 가구: 1,794,010원 이하
    • 2인 가구: 2,949,494원 이하
    • 3인 가구: 3,769,015원 이하
    • 4인 가구: 4,573,330원 이하
  • 재산 기준:
    • 일반 재산: 1억 8,900만 원 이하 (대도시 기준).
    • 금융 재산: 839만 2,000원 이하.
  • 기타: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 일부 면제, 신용 문제 무관.

3. 지원 금액 및 기간

(1) 생계지원금액 (월 기준)

  • 1인 가구: 약 73만 500원 (2.4% 인상)
  • 2인 가구: 약 118만 원
  • 3인 가구: 약 151만 원
  • 4인 가구: 195만 1,287원 (6.42% 인상)
  • 5인 이상: 1인당 약 45만 원 추가

(2) 지원 기간 및 방식

  • 기본: 1개월 일시 지급 (현금/선불카드).
  • 연장: 위기 지속 시 최대 6개월.
  • 추가 지원: 의료비(최대 300만 원), 주거비(최대 100만 원).

4. 신청 절차

  1. 사전 준비: 위기 사유 증빙(실직증명서, 진단서 등), 소득·재산 증빙, 신분증·주민등록등본.
  2. 신청 방법:
    • 오프라인: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 온라인: 복지로 또는 정부24.
    • 전화: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3. 심사 및 지급: 3~5영업일, 긴급 시 당일 가능.

꿀팁

  • 위기 발생 즉시 129 상담으로 서류 안내 받기.
  • 온라인 신청(복지로 앱)으로 시간 절약.
  • 소득 증빙 미비 시 보완 제출 가능.
  • 연장 필요 시 미리 주민센터 문의.
  • 주거·의료비 추가 신청으로 혜택 극대화.

5. 유의사항

  • 중복 지원 제한: 기초생활수급자와 중복 시 조정.
  • 허위 신청 시 환수 및 처벌.
  • 1년 내 동일 사유 재신청 불가.
  • 서울·수원 등 지자체 추가 지원 확인 필수.

6. 자주 묻는 질문 (FAQ)

Q: 생계급여와 긴급복지의 차이는?
A: 생계급여는 장기 지원(매월), 긴급복지는 일시적 위기 지원(1~6개월).

Q: 1인 가구도 신청 가능?
A: 소득 179만 원 이하, 위기 상황이면 가능.

Q: 지원금은 언제까지 받을 수 있나?
A: 기본 1개월, 최대 6개월. 지자체 추가 지원 가능.

Q: 온라인 신청 시 필요한 건?
A: 공인인증서/간편인증, 서류 스캔 업로드.

Q: 인상된 금액은 언제부터?
A: 2025년 1월 1일부터 적용.

7. 참고 사이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