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전기차 지역별 보조금
- 윈도우11 설치
- 민생지원금
- 9월 지역축제
- 전기차 지원금
- 위고비 부작용
- 숙면
- 윈도우11 업데이트
- 옴니보어
- 노란봉투법
- 민생회복
- 위고비
- 9월 지역행사
- 8월의 변화
- 비문증 예방
- 여름나기 음식
- 뽑기게임
- 소확행
- etf
- 가을여행 명소
- 상생페이백
- 토핑경제
- 대전0시축제
- 다이어트
- 8월 지역행사
- 국가지원금
- 키토제닉
- 소비쿠폰
- 단통법 폐지
- 국가지원사업
Archives
- Today
- Total
socool1 님의 블로그
2025년 스몰 웨딩 트렌드 총정리 본문
반응형
2025년 스몰 웨딩 트렌드 총정리
2025년 결혼을 계획하고 계신 예비부부들을 위해 최신 스몰 웨딩 트렌드를 총정리해 드립니다. 최근 결혼 문화는 실용성과 개인의 가치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는 스몰 웨딩 트렌드에 더욱 뚜렷하게 반영되고 있습니다.
1. 하객 규모의 축소: '마이크로 웨딩' 확산
전통적인 결혼식과 달리 100명 미만의 하객을 초대하는 스몰 웨딩이 대세로 자리 잡았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하객 규모를 20명 내외로 더 줄인 '마이크로 웨딩'이 확산하는 추세입니다. 이는 지극히 가까운 가족과 친구들만 초대하여 진정성 있고 의미 있는 시간을 보내고자 하는 예비부부들의 니즈를 반영합니다.
2. 비용의 현실화와 실용성 중시
장기적인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으로 인해 결혼식에 대한 인식도 실용적인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예비부부들은 예물이나 예단 같은 전통적인 항목보다는 신혼여행이나 가전, 가구 등 실질적인 부분에 더 투자하려는 경향을 보입니다.
- 스몰 웨딩 평균 비용: 하객 50명 기준, 예식장 비용(대관료+식대)은 500만 원~1,000만 원 선으로 일반적인 컨벤션 웨딩의 절반 수준입니다.
- 스드메 (스튜디오, 드레스, 메이크업):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스드메 패키지 대신 셀프 촬영이나 간소화된 패키지를 선택하는 경우도 늘고 있습니다.
3. 다채로운 장소와 콘셉트
획일적인 결혼식장 대신 개성 있는 공간에서 '나만의' 결혼식을 올리고자 하는 욕구가 커지면서 장소의 다양성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 호텔 스몰 웨딩: 소규모 하객을 위한 호텔의 '부티크 웨딩' 패키지가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몬드리안 서울 이태원, 파크 하얏트 부산, 포포인츠 바이 쉐라톤 명동 등에서는 소규모 인원을 수용하면서도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 야외 웨딩: 날씨에 대한 대비가 잘 되어 있는 야외 웨딩 장소도 여전히 인기가 높습니다. 루프탑, 정원, 숲속 등 자연 친화적인 공간에서 로맨틱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습니다.
- 레스토랑 & 카페: 맛있는 식사와 편안한 분위기를 중시하는 부부들에게는 레스토랑이나 카페를 통째로 대관하는 방식이 선호됩니다.
4. 웨딩드레스 & 스타일링 트렌드
화려한 장식보다는 단순하고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을 강조하는 드레스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 내추럴 & 심플: 소재의 고급스러움을 살린 단순한 실루엣의 드레스가 트렌드입니다. 자연스러운 뉴트럴 컬러나 로맨틱한 핑크 등의 세컨드 드레스도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 입체적인 플라워 모티브: 꽃잎이 핀 듯한 플라워 모티브나 섬세한 레이스 장식이 가미된 드레스는 사랑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합니다.
- 코르셋 & 리본 디자인: 코르셋 디자인은 세련되면서 여성스러운 매력을, 리본 디자인은 사랑스러운 느낌을 강조하여 예비 신부들의 선택을 받고 있습니다.
2025년 스몰 웨딩은 단순히 규모를 줄이는 것을 넘어, 신랑 신부의 가치관과 개성을 온전히 담아내는 의미 있는 행사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