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026년 최저임금
socool1
2025. 8. 14. 13:26
반응형
<!doctype html>
📌2026년 적용 최저임금 안내
시급10,320원
적용기간2026.01.01 ~ 12.31
2026년 최저임금(시간급 10,320원) 한눈에 보기
시간급
10,320원
전년 대비
2025년 10,030원 → +290원 (+2.9%)
업종·지역
구분 없음 (모든 사업장 동일)
※ 본 페이지는 이해를 돕기 위한 요약 안내입니다. 실제 적용은 근로기준법·최저임금법·고용노동부 고시에 따릅니다.
1) 기본 환산
월 환산액(상용 209시간 기준)
10,320원 × 209시간 = 2,156,880원
209시간은 주 40시간 + 주휴시간을 월 기준으로 환산한 표준값입니다.
자주 쓰는 단위
- 일급(8시간): 82,560원 = 10,320 × 8
- 주급(주40h + 주휴 8h 가정): 495,360원 = 10,320 × 48
2) 가산수당 단가
구분 | 배율 | 시간단가 | 비고 |
---|---|---|---|
연장근로 | 1.5배 | 15,480원 | 1일 8시간·주 40시간 초과 |
야간근로(22:00~06:00) | +0.5배 | 15,480원 | 야간만 단독 발생 시 |
연장+야간 중복 | 2.0배 | 20,640원 | 1.5배 + 0.5배 |
휴일근로 (8시간 이내) | 1.5배 | 15,480원 | 법정휴일·약정휴일 포함 |
휴일근로 (8시간 초과) | 2.0배 | 20,640원 |
3) 적용 대상·주휴·수습
적용 대상
- 모든 근로자(고용형태·국적 무관)에게 동일 적용
- 업종·지역 차등 없음
주휴수당(주휴시간) 요건
- 1주 15시간 이상 근로 시 다음 주 유급 주휴 발생
- 최저임금 비교 시
시급 × (근로시간 + 주휴시간)
으로 산정
수습기간 90% 감액 적용 가능 요건
- ① 근로계약 1년 이상, ② 수습 시작 후 3개월 이내, ③ 감액을 서면 명시
- 단순노무 종사자는 수습이라도 감액 금지
4) 최저임금 비교 시 포함/제외
산입되는 항목
- 매월 정기·일률 지급되는 정기상여금
- 매월 현금으로 지급되는 복리후생비 (식대·교통비 등)
산입 제외(보통)
- 초과근로수당 (연장·야간·휴일가산)
- 성과·일시금 성격 상여
- 현물 지급(현물 식대 등), 출장비 등
※ 실제 산입 여부는 지급 형태·주기·규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급여체계와 계약서 조항을 함께 확인하세요.
5) 상황별 계산 예시(세전)
유형 | 전제 | 계산 | 금액 |
---|---|---|---|
상용직(주 40h) | 주 5일×8h, 주휴 포함 | 10,320 × 209h | 2,156,880원/월 |
파트타임 A | 주 20h (1일 4h×5일), 주휴 4h | 10,320 × (20+4)h × 4.345주 | 약 1,076,229원/월 |
파트타임 B | 주 30h (1일 6h×5일), 주휴 6h | 10,320 × (30+6)h × 4.345주 | 약 1,614,343원/월 |
연장 10h 추가 | 상용직 기준 | 연장수당 15,480 × 10h 가산 | 154,800원/월 추가 |
※ 주휴 발생은 1주 15시간 이상 근로 시 인정됩니다. 실제 스케줄(요일·근로일수)에 따라 주휴시간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6) 자주 틀리는 포인트
- 수습 90%는 요건 충족 및 서면 명시 없으면 적용 불가
- 매월 정기 지급되는 정기상여·현금성 복리후생비는 원칙적으로 산입
- 주휴수당은 1주 15시간 이상 근로해야 발생
7) 미지급 시 제재
최저임금 미달 지급 시 3년 이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 벌금(병과 가능).
빠른 도구
[요약]
• 2026년 최저임금 시급 10,320원 (2026.1.1~12.31)
• 월 환산 2,156,880원(209h 기준)
• 연장 1.5배(15,480원), 야간 +0.5배, 중복 2.0배(20,640원)
• 주휴: 1주 15h 이상 근로 시 발생
• 수습 90%는 요건 충족+서면 명시, 단순노무 감액 금지
• 산입: 정기상여·현금성 복리후생비 / 제외: 초과수당·일시금·현물
• 미지급 시: 3년 이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 벌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