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추석 차례상 준비 체크리스트(필수·생략 가이드)
차례상은 집안의 전통과 지역적 풍습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지켜지는 기본 원칙과 최근 간소화 추세를 함께 알려 드립니다.
1. 차례상 준비 체크리스트 (기본 원칙)
차례상은 보통 병풍을 기준으로 5열로 차리며, 제사를 지내는 분(제주)이 상을 바라봤을 때를 기준으로 방향을 정합니다.
🍽️ 차례상 음식 배치 (열별)
열 (병풍 기준) | 주요 음식 | 배치 원칙 (사자성어) |
---|---|---|
1열 | 밥·국 대신 송편 (추석) 및 술잔 (신위와 가장 가까운 쪽) | 반서갱동 (밥은 서쪽, 국은 동쪽. 추석은 송편이 밥 대신) |
2열 | 적 (구이) 및 전 (부침개) 종류 | 어동육서 (생선은 동쪽, 고기는 서쪽) 두동미서 (생선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 |
3열 | 탕 (국물 요리) 종류 | 보통 육탕, 어탕, 소탕(두부/채소탕) 등 홀수로 올림 |
4열 | 반찬 (나물, 포, 식혜 등) | 좌포우혜 (포는 왼쪽, 식혜는 오른쪽) 숙서생동 (나물은 서쪽, 김치/젓갈 등은 동쪽) |
5열 | 과일 및 한과 | 조율이시 (왼쪽부터 대추, 밤, 배, 감 순서) 홍동백서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 |
- 술잔과 송편 (혹은 떡국): 신위 수만큼 준비합니다.
- 제기 및 용품: 병풍, 교의(지방을 붙이는 상), 향로, 향, 모사 그릇(술을 따르는 그릇), 잔반(술잔과 받침), 퇴주 그릇, 제상보 등.
2. 필수 준비 항목 및 생략 가이드
최근 성균관의례정립위원회 등에서 차례상의 간소화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가짓수나 형식보다는 정성이 중요하며, 가족 간의 합의에 따라 생략하거나 간소화할 수 있습니다.
✅ 필수 준비 항목 (기본)
- 송편: 추석에는 밥 대신 햇송편을 올리는 것이 기본입니다.
- 술 (청주): 제주(제사 술)로 사용합니다.
- 적 (구이) 및 전: 산적, 육적, 어적 등 주된 요리가 됩니다.
- 나물 (삼색): 흰색(도라지), 갈색(고사리), 푸른색(시금치 등)을 기본으로 합니다.
- 과일: 대추, 밤, 배, 감 등 제철 햇과일을 홀수로 올립니다.
- 포 (말린 것): 북어포나 육포 등을 올립니다.
- 탕/국: 탕(3가지)이나 쇠고기 뭇국(갱)을 올리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생략 또는 간소화 가능 항목 (가이드)
항목 | 기존 관습 | 간소화 가이드 및 이유 |
---|---|---|
전 (부침개) | 육전, 동태전 등 다양한 전을 올림 | 생략 가능. 기름에 튀기거나 지진 음식(밀과, 유병 등)은 예법에 맞지 않는다는 견해가 있으며, 준비의 수고를 덜기 위해 생략을 권장합니다. |
탕 (국물) | 3가지 종류 (육탕, 어탕, 소탕) | 1가지 (주로 쇠고기 뭇국) 혹은 생략 가능. 복잡한 준비 과정을 줄이기 위해 권장됩니다. |
메 (밥) | 기제사 때 올리는 밥 | 추석 차례상은 송편으로 대체하므로 밥과 국은 생략하는 것이 전통에 맞습니다. |
특정 조리법 | 고춧가루, 마늘, 화려한 색깔 | 고춧가루와 마늘을 넣지 않는 것은 유지. 제사는 깨끗하고 정갈한 음식을 올리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
배열 순서 | 조율이시, 홍동백서 등 | 이 배열 원칙들이 예법 관련 옛 문헌에는 없다는 주장도 있으므로, 집안의 합의에 따라 간편하게 차려도 무방합니다. |
⚠️ 차례상 금기 음식
- 복숭아: 귀신을 쫓는다는 속설 때문에 사용하지 않습니다.
- '치'로 끝나는 생선: 꽁치, 갈치, 삼치, 멸치 등은 예전부터 잘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 고춧가루, 마늘, 붉은 양념: 맵거나 자극적인 양념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
차례는 조상에 대한 감사와 공경을 표하는 예절입니다. 차례상을 준비할 때는 가족들이 함께 논의하여 형편과 상황에 맞게 정성껏 차리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