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추석 차례상 차림 순서 및 예절 완전정리
🍂 차례상 기본 배치 원칙
5열 배치법 (신위 기준)
신위(조상위패)
─────────────────────────────
1열: 밥, 국 (메인 식사류)
2열: 구이, 전 (조리된 음식)
3열: 나물, 김치 (반찬류)
4열: 포, 식혜/수정과 (건어물, 음료)
5열: 과일, 과자 (후식류)
─────────────────────────────
제사 지내는 사람
📍 상차림 세부 배치법
1열 (첫 번째 줄) - 밥국류
밥: 왼쪽에 배치 (조상 기준)
국: 오른쪽에 배치
떡국 또는 송편: 가운데 또는 추가로 배치
2열 (두 번째 줄) - 주요리
구이류: 생선구이, 고기구이
전류: 동그랑땡, 생선전, 야채전
탕류: 갈비탕, 삼계탕 등
3열 (세 번째 줄) - 반찬류
나물: 3가지 이상 (도라지, 고사리, 시금치 등)
김치: 깍두기나 배추김치
조림: 콩조림, 연근조림 등
4열 (네 번째 줄) - 건어물/음료
포류: 북어포, 대구포, 오징어포
식혜 또는 수정과: 전통 음료
정종: 술 (작은 잔에)
5열 (다섯 번째 줄) - 과일/디저트
과일: 홀수 개씩 배치 (사과, 배, 감 등)
과자류: 약과, 산자 등 전통과자
견과류: 대추, 밤, 호두 등
🎯 배치 시 주의사항
방향성 원칙
- 어두미: 생선의 머리가 동쪽을 향하도록
- 복서향: 과일의 꼭지가 신위 쪽을 향하도록
- 좌포우혜: 포는 왼쪽, 식혜는 오른쪽에
금기사항
- 복숭아: 귀신을 쫓는다고 여겨져 제외
- 고춧가루: 붉은색이 부정하다고 여겨져 사용 금지
- 마늘, 양파: 냄새가 강해 제외
- 짝수: 음식 개수는 홀수로 맞춤
🙏 차례 예절 순서
준비
제사 30분 전까지 상차림 완료
참여자들 한복 또는 정장 착용
향과 촛불 준비
차례 시작
촛불 점화 후 향 3번 올림
주인(장남 또는 가장)이 먼저 절
가족들이 차례로 절 (2번 또는 4번)
헌작례 (술 올리기)
1. 첫 번째 잔: 주인이 올림
2. 두 번째 잔: 차남 또는 주인의 부인
3. 세 번째 잔: 기타 가족들
삽시정저 (수저 꽂기)
밥에 숟가락 꽂기
국에 젓가락 꽂기
약 5분간 조상이 식사하시는 시간
마무리
수저 정리
모든 참석자 마지막 절
촛불과 향 정리
📋 지역별 차이점
- 밥과 국의 위치가 바뀌는 경우 있음
- 송편 대신 시루떡을 올리기도 함
- 젓갈류를 추가로 올리는 전통
- 떡은 흰떡을 선호
- 표준적인 5열 배치법 사용
- 송편을 필수로 여김
💡 현대적 적용 팁
간소화 방안
핵심 음식 위주로 준비 (7-9가지)
시간이 없을 때는 3열 배치도 가능
시판 제품 활용 (송편, 전 등)
아파트/소규모 공간
작은 상에 맞게 음식 크기 조절
일회용품 대신 작은 그릇들 활용
간이 제단 설치
건강 고려사항
당뇨환자를 위한 저당 과일 선택
고혈압 환자를 위한 저염 조리
알레르기 유발 음식 확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