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사료 성분표 읽는 법: 첫 5개 원재료로 판별하는 체크리스트
사료 성분표를 읽을 때, 첫 5개 원재료를 중심으로 판별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주성분은 함량이 많은 순으로 나열되며, 첫 5개의 원재료가 사료의 영양 프로필을 결정합니다.
첫 5개 원재료 체크리스트
- 첫 번째~두 번째 원재료가 '생육' 또는 '구체적 육분(예: 닭고기, 연어, 양고기 분 등)'인지 확인합니다. 이름이 명확하지 않은 '육분(meat meal)', '동물성 부산물' 같은 표현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곡물이나 곡물 부산물(예: 옥수수, 밀, 대두)이 상위권에 있다면 탄수화물 비중이 높은 사료일 가능성이 높으며, 알러지 유발 가능성도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복합 탄수화물(현미, 귀리, 고구마 등)이나 천연 식이섬유(완두콩, 아마씨 등)가 포함되어 있으면 소화를 돕고 피부·면역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정확한 원료명이 적혀있는지(예: '가수분해 오리고기', '동결건조 연어') 확인합니다. 모호한 ‘육류’, ‘곡류’, ‘단백질 혼합물’ 등의 표현은 품질 확인이 어렵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원재료를 분할(예: 옥수수, 옥수수글루텐, 옥수수전분) 표기하는 경우 실제 총 함량이 높을 수 있으니 전체 구성 비율을 고려해야 합니다.
핵심 포인트
- 단백질 출처가 명확하게 표기(닭고기, 연어 등)된 사료를 고르세요. 단백질의 소화율과 질이 중요합니다.
- 곡물 및 알러지 유발 물질(밀, 옥수수, 대두)은 민감한 반려동물에게 특히 주의가 필요합니다.
- 성분표의 앞쪽 원재료가 동물성 단백질 중심이라면 좋은 사료일 가능성이 높으며, 식물성 단백질이나 곡물 중심이면 품질을 재고할 필요가 있습니다.
- 원료의 가공 상태(생육, 분말, 가수분해 등)도 따져봐야 하며, 생육이 들어간 사료는 신선도·영양적 우위가 있습니다.
체크리스트 표
체크항목 | 좋은 예시 | 주의/피할 예시 |
---|---|---|
1~2번째 원재료 | 닭고기, 연어, 양고기, 칠면조 | 육분, 동물성 부산물 |
곡물/탄수화물 비중 | 현미, 귀리, 고구마 | 밀, 옥수수, 대두 |
원료명 구체성 | 가수분해 오리고기, 동결건조 연어 | 육류, 곡류 |
알러지 유발 가능 | 없음 | 옥수수, 밀, 대두 |
복합 식이섬유 포함 | 완두콩, 아마씨 | 인공첨가물, 설탕 |
이 체크리스트를 바탕으로 성분표 앞부분을 꼼꼼히 비교하면 반려동물에게 영양적으로 적합한 사료 선택에 큰 도움이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