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80~1990년대를 살아온 사람이라면 한 번쯤은 “영구 없다!”라는 명대사를 기억할 것입니다. 대한민국 대표 코미디언 심형래가 주연한 영화 시리즈 ‘영구와 땡칠이’는 단순한 유머를 넘어 당시 사회와 세태를 반영한 복고영화의 대표작으로 손꼽핍니다. 본문에서는 7080세대의 추억 속 레전드 영화 ‘영구와 땡칠이’ 시리즈를 복고적 감성과 함께 재조명하며, 영화 속 캐릭터들, 유행 요소, 시대적 배경 등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복고영화의 진수, ‘영구와 땡칠이’‘영구와 땡칠이’는 1989년부터 1993년까지 총 9편이 제작된 어린이·가족 코미디 영화 시리즈입니다. 주인공인 ‘영구’는 심형래가 연기한 캐릭터로, 어리숙하지만 순수하고 착한 성격으로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았습니다. 반면 ‘땡칠이’는 영화마다 다르..

7080세대가 어린 시절 즐겼던 장난감은 단순한 놀이 도구를 넘어, 그 시대의 문화를 반영하고 세대 간 추억을 연결하는 매개체입니다. 본 글에서는 당시 유행했던 7080세대들이 늘 가지고 다닌 다양한 장난감의 종류를 총정리하며, 그 장난감이 가지는 상징성과 현재의 복고 열풍 속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를 알아봅니다.플라스틱 장난감의 전성기 (레트로 장난감)1970~80년대는 본격적으로 플라스틱이 대중화되며 장난감 산업에도 큰 변화가 생긴 시기였습니다. 이전에는 나무나 금속으로 제작되던 장난감이 점점 가볍고 다양한 색상, 형태로 만들어지기 시작했습니다. 대표적인 장난감으로는 ‘로보트 태권V’나 ‘태권소년’ 같은 캐릭터 피규어들이 있으며, 이들은 플라스틱 사출 기술을 이용해 대량 생산된 제품들이었습니다.또한..

짜장면은 단순한 한 그릇의 음식이 아닙니다. 특히 7080세대에게 짜장면은 어릴 적 외식의 대표적인 메뉴이자, 부모님의 손을 잡고 동네 중국집에 갔던 따뜻한 기억입니다. 아버지의 월급날에 치킨과 라이벌이었던 짜장면, 학교 운동회날이면 동네 중국집이 빈자리없이 꽉차서 한시간을 기달려 먹었습니다. 짜장면 한그릇으로 좋아서 껑충껑충 신난다며 좋아했는데 , 이젠 점심에 주말에 밥먹기 싫을때 별미로 먹는 음식이 되었습니다. 짜장면 한그릇에 울고 웃고 어린시절의 추억거리의 하나가 되었습니다.이 글에서는 7080세대가 기억하는 짜장면의 맛과 그 배경, 시대에 따른 변화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국민학교 시절, 특별한 외식 메뉴였던 짜장면1970~80년대 국민학교를 다녔던 세대에게 짜장면은 특별한 날에만 먹을 수 ..

1980년대 한국 치킨 브랜드들은 단순한 음식이 아닌 세대의 추억이자 외식 문화의 상징이었습니다. 아버지 월급날만을 손꼽아 기다리면서 하루하루 달력을 보던 때가 생각납니다. 당시 등장한 브랜드들은 각각 독특한 맛과 마케팅으로 인기를 끌었고, 그 시대에는 쉽게 먹을 수 없는 고급음식이었습니다. 그 이후에 치킨 붐이 일어날 만큼 많이 소비를 했고 치맥이라는 단어를 만들정도로 우리 한국사람들의 쏘울 푸드이기도 했습니다. 지금은 치킨값이 올라서 쉽사리 먹기가 오히려 힘이 들어졌지만 . 그래도 집에서 밖에서 가장 많이 즐겨먹는 음식이 되었습니다. 지금은 예전에 제가 즐겨먹던 치킨브랜드들이 최근에 치킨브랜드들을 넘어서 MZ세대 사이에서 ‘레트로 열풍’과 함께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1980년대..

2025년 현재, 복고 감성이 사회 전반에 걸쳐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 중심에는 단순한 유행을 넘어, 진한 추억과 감성이 담긴 1980년대 불량식품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쫀드기, 아폴로, 달고나 같은 간식들은 당시 어린이들의 최고의 즐거움이었고, 지금 우리아이 세대에게는 새로운 호기심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대표적인 80년대 불량식품들을 소개하고, 그 속에 담긴 시대적 배경과 추억의 의미를 되짚어보겠습니다.쫀드기: 문방구 앞 군것질의 상징학교 앞 문방구나 학교근처 과자가게에서 파는 비닐에 싸인 네모난 모양의 간식으로 대부분 누런색이며, 쫀득이, 쫀드기, 쫀듸기, 쫀디기, 쫄쫄이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습니다. 젓가락 정도의 두께에, 이름처럼 매우 쫀득하며 보통 결대로 잘 찢어진..